티스토리 뷰

- 배경
영화 〈원스〉는 2007년 아일랜드 출신 감독 존 카니(John Carney)가 연출한 저예산 독립영화입니다. 당시 아일랜드는 음악적 전통이 강한 나라로 알려져 있었고, 거리 음악가 버스커 문화가 활발히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감독은 이러한 일상의 음악 환경을 자연스럽고 현실적인 톤으로 담아내고 싶어 했고, 실제 거리에서 촬영하거나 실제 뮤지션을 주연으로 기용하는 실험적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영화 속 남자 주인공 역할을 맡은 글렌 한사드(Glen Hansard)는 실제로 오랫동안 더블린의 거리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는 음악가이며, 영화 속 그의 모습은 연기보다 ‘기록’에 더 가까운 현실감을 전달합니다.
또한 〈원스〉는 당시 큰 예산과 화려한 제작 방식을 선호하던 상업 영화 시장과 대조적으로, 최소한의 장비와 소규모 스태프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클로즈업이 과하지 않고 배경 음악도 자연스럽게 등장해 인위적 구성보다는 삶에 녹아드는 음악의 흐름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일상의 작은 순간에서 피어나는 감정과 대화를 통해 인물의 관계를 드러내며, 그 안에서 음악은 언어를 넘어 서로를 이해하게 하는 매개체로 기능합니다. 결국 〈원스〉는 ‘큰 서사보다 작은 감정의 울림’에 초점을 맞춘 영화였고, 이러한 의도는 많은 관객에게 조용하지만 깊은 공감을 이끌어냈습니다.
- 줄거리
영화는 아일랜드 더블린의 거리에서 기타를 치며 노래를 부르는 한 남자(이름 없이 ‘그 남자(The Guy)’로 불림)로 시작됩니다. 그는 고장 난 청소기 수리를 하며 생계를 이어가고 있지만, 가슴속 깊이에는 잊혀지지 않은 연인에 대한 아픔과 음악에 대한 열망이 남아 있습니다. 어느 날, 거리에서 노래를 연주하는 그의 모습에 끌린 이민자 여성 ‘그 여자(The Girl)’가 말을 걸어오면서 두 사람의 인연은 시작됩니다. 여자는 체코에서 온 젊은 엄마로, 생활이 넉넉하진 않지만 음악을 사랑하고 피아노 연주에 뛰어난 감각을 가진 인물입니다.
둘은 자연스럽게 서로의 음악을 공유하게 되고, 마음속 깊은 상처와 고민을 조금씩 털어놓는 관계로 발전합니다. 하지만 영화는 이들을 “연인”으로 단순하게 묶지 않습니다. 각자 지키고 있는 삶과 책임이 있고, 그 속에서 음악이 서로를 위로하고 연결하는 방식에 초점을 둡니다. 두 사람은 함께 만든 노래들을 녹음하기 위해 밴드 멤버들과 레코딩 스튜디오를 섭외하고, 짧은 시간 동안 소중한 음악적 협업을 이루어냅니다. 이 과정에서 감정은 짙어지지만 이름조차 정확히 알지 못하는 관계의 묘한 거리감 때문에 그 감정은 언제나 말끝에서 멈추곤 합니다.
결국 남자는 영국으로 떠나 음악을 본격적으로 이어가기로 결심하고, 여자는 자신의 삶을 지키기 위해 남습니다. 두 사람은 서로의 인생에 큰 흔적을 남기지만, 사랑이라는 단어로 설명할 수 없는 관계의 여운을 남긴 채 헤어집니다. 이 결말은 누구나 삶에서 한 번쯤 겪는 “이어지지 않아도 아름다운 순간”이라는 감정을 깊게 울려주며 많은 관객의 마음에 오래도록 남는 여운을 남깁니다.
- 등장인물
① 그 남자(The Guy) — 글렌 한사드
거리에서 노래를 부르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평범하지만 음악적 재능이 뛰어난 인물입니다. 그의 음악에는 오래된 연인에게 받았던 상처와 다시 시작하고 싶은 갈망이 섞여 있습니다. ‘그 여자’를 만나면서 그는 오랫동안 묻어두었던 감정과 노래를 다시 꺼내게 되고, 그녀와의 음악적 교감은 인생의 방향을 다시 정하도록 만드는 계기가 됩니다. 말수가 적고 내성적이지만 마음은 누구보다 따뜻한 인물입니다. 그의 존재는 ‘꿈을 미루고 살아온 보통의 사람’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② 그 여자(The Girl) — 마케타 이글로바
체코에서 이주해 어린 딸과 함께 살아가는 여성으로, 경제적으로 어렵지만 삶을 성실하게 꾸려나가는 인물입니다. 겉보기에는 차분하고 단단하지만, 내면에는 외로움과 책임감이 교차하며 복잡한 감정들을 품고 있습니다. 피아노 연주 능력이 뛰어나고 음악을 사랑하는 마음이 깊어 ‘그 남자’와 자연스럽게 음악적 파트너 관계를 형성합니다. 그러나 감정이 깊어짐에도 현실적인 책임 때문에 선을 넘지 않는 절제된 모습에서 그녀 특유의 우아함이 드러납니다.
③ 주변 인물들 — 밴드 멤버, 가족 등
이들은 두 주인공의 감정적 중심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음악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합니다. 밴드 멤버들은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점차 서로의 음악적 색을 이해해 가며 함께 노래를 만들어냅니다. 이 주변 인물들은 도시 속의 일상성과 현실감을 강조하며, 두 사람의 음악이 어떻게 공동의 노력으로 완성되는지 보여줍니다.
- 국내외 반응
〈원스〉는 개봉 당시 “작은 영화가 어떻게 세계를 울리는가”를 증명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 해외에서는 음악과 감정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방식이 큰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두 주인공이 프로 배우가 아닌 실제 뮤지션이라는 점이 영화의 진정성을 극대화했습니다. 유명 평론가들은 “사랑의 본질을 과장하지 않고 가장 인간적인 순간으로 담아낸 작품”이라 평가했으며, 영화 속 메인 OST 〈Falling Slowly〉는 아카데미 주제가상을 수상하며 전 세계적 명곡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국내에서도 ‘잔잔하지만 마음을 강하게 울리는 영화’라는 평가가 우세했습니다. 화려한 장면 없이도 감정의 깊이를 담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관객들이 공감했고, 영화관을 나오며 OST를 찾아 듣는 관객이 유독 많았던 작품이기도 합니다. 특히 두 주인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서로에게 남긴 따뜻함과 성장의 흔적이 많은 관객의 마음에 오래 남았습니다. 한국에서도 오랜 시간이 지나 다시 재개봉되며 꾸준히 사랑받는 클래식이 되었습니다.
“You have to make music. It’s what you do.”

